안녕하세요, 하룬입니다
매번 kubectl 커맨드를 입력할 때마다 --kubeconfig 옵션 작성이 귀찮으셨던 적 없으셨나요?
이번 글에선 --kubeconfig 옵션을 생략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Kubernetes 공식 문서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configuration/organize-cluster-access-kubeconfig/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접근 구성하기
kubeconfig 파일들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및 인증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자. kubectl 커맨드라인 툴은 kubeconfig 파일을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선택과 클러스터의 API 서버
kubernetes.io
export KUBECONFIG=~/.ncloud/kubeconfig.yaml
위 커맨드를 입력하면 환경변수에 KUBECONFIG가 등록됩니다!
저는 기본으로 지정할 kubeconfig 파일이 ~/.ncloud 경로에 있어서 해당 경로로 지정했습니다.
각자 저장해놓으신 경로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추가) 여러개의 Profile을 사용해야하는 경우
저의 경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메인 계정 여러개에 클러스터도 여러개 사용 중이라
일부러 옵션을 생략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가 이번에 방식을 바꾸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식을 공유드리겠습니다.
.ncloud
├── configure (file)
├── configures
│ ├── configure_1
│ └── configure_2
├── kubeconfig.yaml
├── kubeconfigs
│ ├── kubeconfig_1.yaml
│ └── kubeconfig_1.yaml
└── temp
위 디렉토리처럼 구성하여 메인으로 사용하는 profile 들은 ~/.ncloud/configure 와 ~/.ncloud/kubeconfig.yaml 로 사용하고,
만약 profile 변경이 필요하다면 각 디렉토리에서 복사해서 상위에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시로, 현재 configure_1, kubeconfig_1.yaml profile을 사용중인데 2번으로 변경하는 경우,
cd ~/.ncloud/configures
cp configure_2 ../configure
cd ~/.ncloud/kubeconfigs
cp kubeconfig_2.yaml ../kubeconfig.yaml
이런 간단한 커맨드로 손쉽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저는 이런식으로 사용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Dev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프로젝트 배포하기 (2) - Backend (Tomcat) (0) | 2023.12.19 |
---|---|
Web 프로젝트 배포하기 (1) - Linux 서버 (0) | 2023.12.19 |